PARSEINT 2

몫의 정수 부분만 구하는 방법들

자바스크립트에서 몫의 정수부분을 구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하다. 그 중 Double Tilde(~~)에 대해서 처음 알게되었고, 지금까지 알게 된 방법들을 정리 해 보았다. ​ 1. Math.floor() 함수 사용하기 Math.floor() 함수는 주어진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한다. 따라서 몫의 정수부분을 구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. let a = 10; let b = 3; let quotient = Math.floor(a / b); // 3 2. Double Tilde(~~) 연산자 사용하기 Double Tilde(~~) 연산자를 사용해서 몫의 정수부분을 구할 수도 있다. let a = 10; let b = 3; let quotient = ~~(a / b); // 3 3. pars..

Javascript 2023.11.23

Number()와 parseInt()는 무엇이 같고 다를까?

自初至終(자초지정) 숫자형으로의 형변환이 필요한 경우 나는 무의식적으로 줄 곧 Number() 메서드만 사용해 왔다. 공부를 하면서 parseInt()라는 메서드로도 숫자형으로 형변환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, "아니 같은 기능을 하는거면 뭐하러 두개씩이나 있는거지?" 라는 의구심으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보았다. parseInt(String, [radix]) radix 파라미터는 사용하려는 숫자 시스템을 지정하는데 쓰이는데, 예를 들어 radix 파라미터 값이 16이면, 16진수로 String 파라미터의 구문을 분석한다. 두번째 radix 파라미터에는 2부터 36까지 입력할 수 있으며, 입력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10(10진수)으로 구문 분석을 하지만, Javascript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한다. ..

카테고리 없음 2023.11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