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 CSS

HTML 엔티티(Entity)란?

John' 2023. 11. 9. 19:18

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다. 특정한 행동이나 생각을 자주 하지 않으면 우리 뇌 속에서는 신경의 가지치기 현상이 일어난다고 한다. 우리가 어떤 생각, 기분, 행동을 수행하지 않으면 뇌는 그와 연관된 뉴런들을 발화시키지 않는데, 그 결과 그러한 생각, 기분, 행동이 점점 약해지다가 결국 시들어버리고 잊게 되는 것을 신경 가지치기라고 한다.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초등학교 시절처럼 리코더를 연주할 수 없는거고, 곡면의 부피를 구하는 적분 공식이나 근의 공식등에 대해 더는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다. 쉽건 어렵건 지금 나는 무조건 많이 생각하고 자꾸 써보고 사용해보는 것 밖에 방도가 없다 생각한다.

 

 

 

HTML 엔티티는 웹 페이지에서 특수 문자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. 이러한 특수 문자들은 HTML 문서의 마크업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문자나 기호이며 HTML 엔티티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


1. 유효한 HTML 문서 유지: HTML은 마크업 언어로서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고 웹 브라우저에게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을 지정한다. 특수 문자를 그대로 사용하면 HTML 문서의 구조와 해석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. 예를 들어, <나 >와 같은 부등호를 그대로 사용하면 HTML 태그로 오인될 수 있어 HTML 엔티티를 사용하면 이러한 혼란을 피할 수 있다.

2. 크로스 브라우저 호환성: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플랫폼에서 동일한 웹 페이지를 올바르게 렌더링하려면 HTML 엔티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. 일부 브라우저나 플랫폼에서는 특수 문자를 지원하지 않거나 다르게 해석할 수 있으므로 엔티티를 사용하여 일관된 표현을 유지할 수 있다.

3. 웹 접근성: 웹 페이지를 접근성 있게 만드는 것은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인데, HTML 엔티티를 사용하면 스크린 리더 및 다른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수 문자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.

4. 코드 가독성: HTML 문서는 가독성 있고 유지보수 가능한 코드를 가지도록 작성되어야 한다. 특수 문자를 엔티티로 대체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향상되며, 다른 개발자와의 협업 및 유지보수가 쉬워진다.

5. 보안: 특히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HTML 문서에 삽입할 때, 입력 데이터를 그대로 표시하지 않고 HTML 엔티티로 이스케이프하여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(XSS)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.

따라서 HTML 엔티티는 HTML 문서를 더 정확하게 작성하고,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된 표현을 유지하며,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고, 코드 가독성을 높이며, 보안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도구이다.

 

 

 

HTML 엔티티를 사용하여 특수 문자 표현하기

 

HTML 엔티티는 앞서 설명한대로, HTML 문서 내에서 특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이며, 이 코드는 & 기호로 시작하고 ; 기호로 끝난다. 이렇게 작성된 엔티티는 브라우저에 의해 특수 문자로 해석된다. 아래는 몇 가지 일반적인 HTML 엔티티의 예제이다.

 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    <title>HTML 엔티티 예제</title>
</head>
<body>
    <h1>HTML 엔티티 예제</h1>
    <p>&lt;는 작은 부등호( &lt; )를 표현한다.</p>
    <p>&gt;는 큰 부등호( &gt; )를 표현한다.</p>
    <p>&amp;는 앰퍼샌드(&amp;)를 표현한다.</p>
    <p>&quot;는 큰 따옴표(&quot;)를 표현한다.</p>
    <p>&copy;는 저작권 기호(&copy;)를 표현한다.</p>
</body>
</html>

결과는 다음과 같다.

'HTML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Font를 Preload하는 방법  (19) 2023.11.12
Safari 브라우저에서 크로스브라우징 하기  (18) 2023.11.12
HTML5 시멘틱 태그와 웹 표준을 지키는 이유  (19) 2023.11.12
WAI-ARIA란?  (18) 2023.11.11
BEM(Block Element Modifier) 방법론  (18) 2023.11.11